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흥진비래(興盡悲來)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by 지식 연금술사 2025. 3. 16.
반응형

흥진비래

 

살다 보면 즐거운 일이 있는가 하면, 그 기쁨이 끝나자마자 슬픈 일이 닥치기도 합니다. 이러한 인생의 부침을 사자성어로 간결하게 표현한 것이 ‘흥진비래(興盡悲來)’입니다. 이 글에서는 흥진비래의 뜻과 유래, 예문, 그리고 반대 개념과 유사한 사자성어 등을 살펴보며, 우리 삶에 주는 교훈을 되새겨보겠습니다.

 

흥진비래(興盡悲來)의 뜻

  • 겉뜻: 흥(興)이 다하면(盡) 슬픔(悲)이 찾아온다(來).
  • 속뜻: 즐거움이 끝나면 슬픔이 찾아온다는 의미로, 인생의 희로애락이 순환하며 어느 한쪽에만 머물지 않는다는 원리를 나타냅니다. ‘달도 차면 기운다’는 우리 속담과 비슷하게, 행복과 기쁨이 영원하지 않음을 경계하고, 동시에 즐거움만큼 슬픔도 자연스러운 삶의 한 부분임을 보여줍니다.

 

한자의 뜻

흥진비래(興盡悲來)

 

  • 興(일어날 흥): 일어나다, 흥하다, 즐겁다
  • 盡(다할 진): 다하다, 끝나다
  • 悲(슬플 비): 슬프다, 비통하다
  • 來(올 래): 오다

네 글자를 직역하면 “즐거움이 끝나면 슬픔이 찾아온다”가 되어, 행복과 불행, 즐거움과 슬픔이 서로 이어지며 반복되는 인생의 이치를 함축합니다.

 

유래

‘흥진비래’중국 고전 문헌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로, 인생 무상을 표현하는 중요한 교훈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옛 사람들은 “즐거움(興)은 반드시 다하는 때가 있으며(盡), 그 뒤에는 슬픔(悲)이 찾아온다(來)”고 보았습니다.
  • 이를 통해 영원히 지속되는 행복도 없고, 영원히 지속되는 슬픔도 없음을 강조하여 ‘흥망성쇠의 이치’를 체득하게 했습니다.

오늘날에도 어떤 상황이든 계속 이어지지 않으며, 좋은 때가 있으면 어려운 시기가 오기도 하고, 고통이 지나가면 다시 기쁨이 올 수 있음을 상기시켜 주는 표현으로 널리 쓰입니다.

 

예문

  1. “이번 사업이 대성공을 거두더니 바로 큰 문제에 부딪혔다니, 참 흥진비래라고 할 수밖에 없네.”
  2. “최근에 좋은 일이 많았지만, 흥진비래란 말이 있으니 오히려 더 겸손해야겠다.”
  3. “흥진비래라는 교훈을 마음에 새겨, 즐거울 때 방심하지 않고 슬플 때 절망하지 않도록 하자.”

위 예문들을 통해, ‘흥진비래’ 행복과 불행이 번갈아 일어나는 인생사를 경계하거나 받아들일 때 사용되는 표현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반대말

  • 흥진비래의 직접적 반대말은 딱히 정착되어 있지 않습니다. 굳이 대조해 보면 ‘슬픔이 끝나면 즐거움이 온다’를 뜻하는 표현으로, “사필귀정(事必歸正)”처럼 결국에는 바른 이치로 돌아간다는 말이나 “새옹지마(塞翁之馬)” 등 인생의 예측 불가함을 경고하는 말들이 간접적으로 대비되는 맥락이 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특정 사자성어로 ‘즐거움이 끝나는 게 아니라 계속된다’ 등을 표현하는 말은 일반적으로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비슷한 사자성어

  1. 새옹지마(塞翁之馬)
    • 인생에 있어 좋은 일과 나쁜 일이 계속 바뀌어 나타난다는 뜻으로, 흥진비래와 같이 인생의 변화를 상징합니다.
  2. 고진감래(苦盡甘來)
    •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 괴로움 뒤에 즐거움이 온다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는 흥진비래와 구조상 반대처럼 보이지만, 인생이 순환하며 아픔과 기쁨이 오고 간다는 점에서 비슷한 흐름을 공유합니다.
  3. 호사다마(好事多魔)
    • 좋은 일에는 마(魔)가 많다는 뜻으로, 잘되는 일에도 장애나 어려움이 따라온다는 의미입니다. 흥진비래가 즐거움 뒤의 슬픔을 강조한다면, 호사다마는 좋은 일 자체에도 늘 고난이 뒤따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유사한 교훈을 지니고 있습니다.

 

새옹지마(塞翁之馬)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새옹지마(塞翁之馬)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인생은 예측할 수 없는 사건들로 가득 차 있으며, 좋고 나쁨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우리는 다양한 교훈을 얻습니다. 이러한 인생의 변덕스러움을 표현한 사자성어가 바로 '새옹지마(塞翁之馬)'입

knowalchlab.tistory.com

 

고진감래(苦盡甘來)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고진감래(苦盡甘來)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인생은 끊임없는 고난과 도전의 연속입니다. 그러나 고진감래(苦盡甘來)라는 사자성어가 말해주듯이, 고통이 지나면 달콤한 결과가 온다는 희망을 품고 우리는 앞으로 나아갑니다. 이 글에서는

knowalchlab.tistory.com

 

정리

흥진비래(興盡悲來) ‘즐거움이 끝나면 슬픔이 온다’는 의미로, 세상사의 무상함과 끊임없는 변화 속에서 희로애락이 순환한다는 이치를 보여주는 사자성어입니다. 부귀영화나 일시적 기쁨이 영원하지 않고, 동시에 슬픔 또한 언젠가는 지나간다는 사실을 염두에 둔다면, 우리는 좋은 때나 나쁜 때 모두 지나치게 흥분하거나 절망하지 않고 균형 감각을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무엇보다 흥진비래가 전하는 가장 큰 메시지는, 삶은 기쁨과 슬픔이 교차하는 무대라는 점입니다. 행복할 때 자만하지 않고, 슬플 때 포기하지 않으며, 그 모든 과정을 수용하는 자세가 인생을 좀 더 풍요롭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