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유유상종(類類相從)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by 지식 연금술사 2025. 3. 16.
반응형

유유상종

 

사람은 자연스럽게 비슷한 취향이나 생각,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과 어울리기 마련입니다. 이런 현상을 가리키며 흔히 ‘유유상종(類類相從)’이라고 합니다. 이 글에서는 유유상종의 뜻과 유래, 예문, 그리고 반대 개념과 비슷한 사자성어 등을 살펴보며,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인간관계의 모습을 되짚어 보겠습니다.

 

유유상종(類類相從)의 뜻

  • 겉뜻: ‘같은 종류(類)의 것끼리 서로(相) 따라다닌다(從).’
  • 속뜻: 성격, 취향, 가치관 등 서로 비슷한 사람끼리 자연스레 어울려 지낸다는 의미입니다. 흔히 “끼리끼리 논다”라든지, “Birds of a feather flock together”라는 영어 속담과 유사한 뜻을 지닙니다.

 

한자의 뜻

유유상종(類類相從)

 

  • 類(무리 류/유): 같은 부류, 종류
  • 類(무리 류/유): (동일한 한자 반복) 같은 부류라는 의미가 강조됨
  • 相(서로 상): 서로, 상호
  • 從(좇을 종): 따르다, 좇다

즉, ‘같은 부류(類)의 것끼리(類類)가 서로(相) 따르고(從) 따른다’라는 말이 되며, 비슷한 사람들이 함께 어울린다는 뜻입니다.

 

유래

‘유유상종’은 중국 고전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본래 비슷한 동물이나 사물이 같은 부류끼리 자연스럽게 모이는 현상을 설명하는 데서 시작했다고 전해집니다.

  • 인간관계에서도 마찬가지로, 공통 관심사나 성격적 유사성이 있는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서로에게 끌려 모이게 됩니다.
  • 이후 동아시아 문화권 전반에서, “비슷한 사람들끼리 어울리는 현상”을 간결하게 설명하는 사자성어로 자리 잡았습니다.

 

예문

  1. “음악을 좋아하는 친구들이 유유상종하여 밴드를 만들었다.”
  2. “성격이 비슷한 이들은 유유상종하기 마련이라, 모임도 공통 관심사별로 나뉘게 된다.”
  3. “유유상종이라지만, 가끔은 다른 취향을 지닌 사람들과도 교류해보는 게 좋겠다.”

이 예문들은 성향이나 취향이 비슷한 사람들끼리 자연스레 어울리는 모습을 잘 보여줍니다.

 

반대말

개념적으로 대조할 수 있는 상황은 ‘성향이 극과 극인 사람들이 함께 어울리는 경우’를 들 수 있을 것입니다.

유유상종의 반대말로는 "동주가불(同舟可不)"이 있습니다. 이는 '같은 배를 탄 사람이라도 마음은 다를 수 있다'는 뜻으로, 외형적 조건은 같아도 내면은 다른 경우를 의미합니다. 동주가불은 유유상종과 달리, 같은 환경에 있더라도 본질적 유대가 없음을 강조합니다.

 

비슷한 사자성어

  1. 붕우유신(朋友有信)
    • 친구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지만, ‘서로 뜻이 통하는 사람들끼리 맺는 우정’이라는 점에서 유유상종과 연결 지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2. 군계일학(群鷄一鶴)
    • 닭 무리 중 한 마리 학이라는 뜻으로, 한 사람만 유독 뛰어남을 표현하지만, 여러 사람이 모였을 때 유별나게 다른 존재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간접적으로 연상해 볼 수 있습니다.
  3. 초록동색(草綠同色)
    • 풀빛과 녹색은 같은 색이라는 뜻으로, 비슷한 부류가 서로 어울린다는 의미로도 해석됩니다.
    • ‘유유상종’과 함께 쓰일 때, ‘비슷한 사람들끼리 함께한다’는 관용적 표현을 보강해 줄 수 있습니다.

 

붕우유신(朋友有信)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붕우유신(朋友有信)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우리는 일상에서 많은 사람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갑니다. 그중에서도 친구 관계는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친구 사이에 신뢰를 유지하는 것은 그 관계를 깊고 오래 지속하게

knowalchlab.tistory.com

 

군계일학(群鷄一鶴)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군계일학(群鷄一鶴)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인생을 살아가다 보면 때로는 평범한 사람들 사이에서 두드러지는 인물을 만나게 됩니다. 이처럼 많은 사람들 중에서 유독 뛰어나고 눈에 띄는 존재를 잘 표현한 사자성어가 바로 '군계일학(群

knowalchlab.tistory.com

 

정리

유유상종(類類相從) ‘비슷한 사람들끼리 어울린다’는 뜻으로, 일상 속에서도 흔히 확인할 수 있는 인간관계의 자연스러운 이치를 보여주는 말입니다. 취향과 성격이 유사한 사람들끼리 모여야 대화가 잘 통하고 편안함을 느끼기 마련이죠.

 

하지만 때로는 자신과 다른 취향이나 관점을 지닌 이들과도 교류해보는 것이 시야를 넓히고 성장할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유유상종의 원리를 인정하면서도, 다양성을 존중하고 경험해 보는 태도를 갖춘다면, 더 풍부한 인생을 누릴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