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살아가면서 같은 값을 치른다면 조금이라도 더 좋고 나은 것을 택하고자 하는 마음이 누구에게나 있기 마련입니다. 이러한 심리를 간결하게 표현해 주는 사자성어가 바로 ‘동가홍상(同價紅裳)’입니다. 이 글에서는 동가홍상의 뜻과 유래, 예문, 그리고 반대말 및 비슷한 사자성어를 살펴보며, 우리의 선택과 가치관에 어떤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지 고민해보겠습니다.
동가홍상(同價紅裳)의 뜻
- 겉뜻: ‘같은 값(同價)을 치른다면(同價) 붉은 치마(紅裳)를 선택한다’는 뜻입니다.
- 속뜻: 가격이나 조건이 동일하다면, 더 나은 품질이나 더 아름다운 것을 선택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흔히 일상 속에서 “어차피 같은 비용이면 더 예쁜 것을 고르는 게 당연하지 않겠느냐”라는 심리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한자의 뜻

- 同(같을 동): 같다, 동일하다
- 價(값 가): 값, 가격
- 紅(붉을 홍): 붉다, 붉은색
- 裳(치마 상): 치마
직역하면 ‘같은 값이면 붉은 치마를 택한다’는 말이 되고, 자연스럽게 “어차피 지불 비용이나 조건이 같다면 더 좋은 것을 고르는 게 인지상정”임을 설명합니다.
유래
‘동가홍상’은 중국 고전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명나라와 청나라 시기 문헌에서 이 속성을 자주 언급했습니다.
- 옛날에는 붉은 치마가 특별하고 아름다운 것을 상징했기에, 예쁘고 화려한 치마를 선호하는 마음을 ‘동가홍상’으로 표현했습니다.
- 이후 동아시아 전역으로 퍼지면서, 일상생활에서 똑같은 비용이나 노력이라면 더 나은 것을 택하려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심리를 함축하는 표현이 되었습니다.
예문
- “책 한 권 살 거면, 동가홍상이니 번역이 더 매끄럽고 해설이 잘된 판본을 골라야지.”
- “같은 가격이라면 동가홍상이라, 디자인이 더 예쁜 신발을 사는 게 당연하지 않겠어?”
- “휴가를 갈 때도 동가홍상이라, 같은 비용이면 시설이 좋은 리조트를 선택하는 게 좋지.”
위 예문들을 통해, 동가홍상이 일상에서 ‘같은 값에 더 나은 선택을 하려는 심리’를 표현할 때 자주 쓰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반대말
- 감탄고토(甘呑苦吐)
- 단어 자체로는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으로, 이기적인 태도를 비판하는 말이지만, ‘동가홍상’처럼 같은 대가에 더 나은 것을 택하는 합리적인 선택과는 다소 결이 다릅니다.
- 실제로 ‘동가홍상’의 정형화된 반대말은 없으나, 굳이 대조하자면 ‘같은 조건이라도 아무거나 혹은 질이 낮은 것을 선택한다’는 비합리적 태도를 상상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대표하는 사자성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비슷한 사자성어
- 차선책(次善策)
- 가장 좋은 것(최선)이 아니라 다음으로 좋은 것을 고르는 전략을 의미하지만, ‘동가홍상’과는 다소 거리가 있습니다.
- 오비이락(烏飛梨落), 우이독경(牛耳讀經) 등은 전혀 다른 의미이므로 ‘동가홍상’과 직접적인 유사성이 없습니다.
- 골라잡다 (속된 표현)
- 여러 중에서 더 나은 것을 선택한다는 의미이긴 하지만, 사자성어는 아니므로 간단히 참고할 만한 일상 표현 정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실 ‘동가홍상’에 직접적으로 대응되는 사자성어는 흔치 않으며, “같은 조건이라면 더 나은 것을 택한다”는 의미를 가장 잘 드러내는 표현이 바로 이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비이락(烏飛梨落)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오비이락(烏飛梨落)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일상 속에서 우연의 일치로 인해 오해가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잘 표현한 사자성어가 바로 '오비이락(烏飛梨落)'입니다. 이 글에서는 오비이락의 뜻과 유래, 그리고 이를
knowalchlab.tistory.com
우이독경(牛耳讀經)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우이독경(牛耳讀經)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우리는 종종 아무리 설명해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을 만나곤 합니다. 이러한 상황을 잘 표현한 사자성어가 '우이독경(牛耳讀經)'입니다. 이 글에서는 우이독경의 뜻과 유래, 그리고 이를 통해
knowalchlab.tistory.com
정리
동가홍상(同價紅裳)은 ‘같은 값이면 붉은 치마를 고른다’는 의미로, 비용이나 조건이 동일하다면 조금이라도 더 낫고 만족스러운 선택을 하려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심리를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 사자성어가 보여주는 것은 합리적인 사고와 선택의 중요성입니다. 물론 단순히 더 나아 보인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닐 수 있지만, 적어도 동일한 조건이라면 자신에게 이로우며 만족도가 높은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이 당연한 본능이자 지혜일 것입니다.
그러나 때로는 ‘가격이나 조건 외에도 다른 요인들(윤리, 환경, 관계 등)을 고려하는 선택’이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우리는 이 사자성어를 통해 소소한 소비부터 중요한 인생 결정에 이르기까지, 단순한 비용 비교뿐 아니라 가치와 필요를 함께 따지는 현명함을 갖출 수 있기를 바라봅니다.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명약관화(明若觀火)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3.16 |
|---|---|
| 심사숙고(深思熟考)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3.16 |
| 흥진비래(興盡悲來)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6) | 2025.03.16 |
| 송구영신(送舊迎新)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3.16 |
| 백절불굴(百折不屈)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6)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