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by 지식 연금술사 2025. 4. 20.
반응형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살면서 누구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수많은 노력과 도전을 반복합니다. 하지만 결과가 쉽게 나오지 않을 때, 우리는 흔히 “노력해도 안 되는 게 있다”고 체념하기도 하죠. 그러나 이럴 때 되새겨야 할 힘 있는 말이 있습니다. 바로,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즉 ‘정신이 하나로 집중되면 이루지 못할 일이 없다’는 고사성어입니다.
이 글에서는 정신일도하사불성의 뜻과 유래, 예문, 반대 개념, 비슷한 사자성어를 자세히 살펴보며, 목표를 향한 집중과 의지의 중요성을 함께 되새겨보겠습니다.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의 뜻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정신을 하나로 모으면 무슨 일이든 이루지 못할 것이 없다”는 뜻입니다.

  • 겉뜻: 정신이 한 곳에 집중되면 어떤 일이든 이루지 못함이 없다.
  • 속뜻: 한 가지 일에 정신을 집중하고 끊임없이 노력한다면, 어떤 일도 반드시 성취할 수 있다는 신념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단지 의욕을 강조하는 말이 아니라, 모든 성공은 집중과 끈기에서 비롯된다는 진리를 압축한 말로 볼 수 있습니다.

 

한자의 뜻 풀이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精 정할 정 神 귀신 신 一 한 일 到 이를 도 何 어찌 하 事 일 사 不 아닐 불 成 이룰 성
精 정할 정 神 귀신 신 一 한 일 到 이를 도 何 어찌 하 事 일 사 不 아닐 불 成 이룰 성

  • 精(정할 정): 정밀함, 정성, 정신
  • 神(귀신 신): 정신, 마음의 작용
  • 一(한 일): 하나, 하나로 모음
  • 到(이를 도): 도달하다, 도착하다
  • 何(어찌 하): 어떤, 무슨
  • 事(일 사): 일, 사건
  • 不(아닐 불): 아니다, 못 하다
  • 成(이룰 성): 이루다, 완성하다

즉, ‘정성과 정신이 하나로 집중되어 도달하면, 어떤 일이든 이루지 못할 것이 없다’는 말이 됩니다.

 

유래

정신일도하사불성은 명확한 단일 고사에서 유래한 표현은 아니지만, 중국 고전 속 수양과 실천의 문맥에서 발전한 격언적 문장입니다. 특히 유학과 도가, 불교 등에서 모두 중시하는 ‘집중과 지속적인 노력’을 핵심으로 삼는 철학과 연관되어 쓰여 왔습니다. 문헌상에서는 중국 명나라(明) 시대 유학자인 진극일(陳繼儀)『심법요결(心法要訣)』이나, 청나라 학자들의 교훈서 등에서 “精神一到,何事不成”이라는 구절이 자주 등장합니다. 이는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와 같은 유학적 가치와 맞닿아 있으며, 스스로 마음을 다스리고 집중한다면 어떤 일도 해낼 수 있다는 가르침을 전하기 위해 사용된 것입니다.

 

또한 불교에서도 ‘일심(一心)’의 개념은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습니다. 한 가지 마음으로 집중하면 정진(精進)의 힘이 모든 업장을 소멸시키고 깨달음에 도달하게 한다는 사상 역시 정신일도하사불성과 일맥상통하는 철학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이 표현은 특정 사건의 고사보다는 수천 년 동양 사상의 흐름 속에서 자연스럽게 정립된 실천의 철학을 상징하는 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예문

  • “그는 정신일도하사불성의 자세로 오랜 연습 끝에 마침내 무대에 설 수 있었다.”
  • “매일 작지만 꾸준한 노력을 이어가면 된다. 정신일도하사불성이라 했듯이 말이야.”
  • 정신일도하사불성이라, 마음을 한데 모으고 집중하면 어떤 난관도 극복할 수 있다.”

이처럼 이 사자성어는 포기하고 싶은 순간에 자신을 다잡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주는 말로 활용됩니다.

 

반대말

정신일도하사불성의 반대 개념으로는 “삼심이의(三心二意)”가 적절합니다.

  • 삼심이의(三心二意)
    • 세 개의 마음, 두 개의 뜻이라는 말로, 마음이 하나로 집중되지 않고 우유부단하며 갈팡질팡하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정신일도하사불성이 집중과 일관된 목표 추구의 태도를 뜻한다면, 삼심이의는 산만하고 결단력 없이 이리저리 흔들리는 마음 상태를 뜻합니다.

 

비슷한 사자성어

정신일도하사불성과 유사한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마부위침(磨斧爲針)
    •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끈기 있는 노력은 결국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든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2. 우공이산(愚公移山)
    • 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기겠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로, 끈질긴 노력과 꾸준함의 힘을 강조합니다.
  3. 자강불식(自强不息)
    • 스스로를 끊임없이 단련하고, 쉬지 않고 정진하는 자세로, 성취와 수양을 위한 지속적 노력을 뜻하는 말입니다.
  4. 일심전력(一心全力)
    • 한마음으로 온 힘을 다한다는 뜻으로, 정신일도하사불성과 유사하게 목표에 대한 집중과 진심 어린 노력을 강조합니다.

 

마부위침(磨斧爲針)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마부위침(磨斧爲針)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우리는 종종 인내와 끈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인내와 끈기는 성공을 이루는 데 중요한 덕목이며, 많은 고전 속 이야기에서 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마부위침(磨斧爲針)'

knowalchlab.tistory.com

 

 

우공이산(愚公移山)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우공이산(愚公移山)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인생을 살아가면서 우리는 때때로 불가능해 보이는 도전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꾸준한 노력과 인내입니다. '우공이산(愚公移山)'이라는 사자성어는 이러한 가치를

knowalchlab.tistory.com

 

정리

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은 단순히 “열심히 하자”는 교훈을 넘어, 성취란 마음의 집중과 지속적인 실천에서 비롯된다는 동양 철학의 정수를 담은 사자성어입니다. 포기하고 싶은 순간, 집중이 흐트러진 순간, 우리는 이 말을 떠올려야 합니다. 진정으로 한 가지 목표에 마음을 모은다면, 어떤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고, 이루지 못할 일도 없다는 강한 믿음. 그 믿음을 가슴에 품고 살아간다면, 우리도 언젠가 스스로에게 “이룰 수 있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정신을 하나로 모은다면, 무엇이든 이룰 수 있다. 그것이 바로 정신일도하사불성의 가르침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