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과 부부 관계를 표현하는 사자성어 중 하나로, 오래전부터 전해져 오는 ‘부창부수(夫唱婦隨)’가 있습니다. 주로 전통적인 가정의 모습, 혹은 조화를 이룬 부부 관계를 설명할 때 쓰이는데요. 오늘은 부창부수의 뜻과 유래, 그리고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또한 반대말과 비슷한 사자성어도 함께 알아보며, 부창부수가 주는 의미를 폭넓게 이해해 보겠습니다.
부창부수(夫唱婦隨)의 뜻
- 겉뜻: ‘남편이 부르면(夫唱), 아내가 따른다(婦隨)’라는 의미입니다.
- 속뜻: 주로 ‘부부가 화합하여 함께 목표를 이룬다’ 혹은 ‘남편이 주도하고 아내가 이에 호응한다’는 전통적 가정관을 나타냅니다. 협력과 조화를 강조하는 해석도 있지만, 현대적인 관점에서는 다소 가부장적 의미가 담겨 있다고 지적하기도 합니다.
한자의 뜻

- 夫(지아비 부): 남편, 사내
- 唱(부를 창): 노래하다, 부르다
- 婦(며느리 부): 아내, 부인
- 隨(따를 수): 따르다, 순종하다
이 네 글자를 조합하면, ‘남편이 노래(주도)하면 아내가 따르는 모습’을 그려내게 됩니다. 이는 전통적인 부부관계에서 남편이 주가 되고 아내가 보조한다는 인식을 보여 주지만, 최근에는 서로를 존중하고 협력하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유래
부창부수의 유래는 유교 사상과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유교가 강조하는 가정 윤리에서 남편과 아내의 조화로운 관계, 그리고 가정 내 질서를 유지하려면 남편이 앞장서고 아내가 이를 함께 이뤄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졌습니다. 이런 개념이 오랜 세월 동안 전해지며 사자성어로 굳어지게 된 것이 바로 ‘부창부수’입니다.
과거엔 가부장적 질서가 강했기에, 남편이 ‘리더’ 역할을 하고 아내가 이에 순종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현대에는 ‘부부가 함께 마음을 맞추어 화합한다’는 보다 균형 잡힌 관점으로 이해하려는 시각도 늘고 있습니다.
예문
- "신혼부부인 그들은 부창부수를 실천하려 서로 존중하고 협력하며 결혼생활을 시작했다."
- "옛날에는 부창부수가 미덕으로 여겨졌지만, 요즘은 양성이 대등하게 협력하는 모습을 더 중시하기도 한다."
- "가정 안에서 너무 일방적인 부창부수가 아니라, 서로 대화하고 이해하는 관계가 바람직하다."
위 예문에서 볼 수 있듯, 부창부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쓰입니다. 전통적 의미가 강하지만, 현대에는 서로 화합하며 존중하는 모습을 더욱 강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대말
부창부수에 정확히 대응되는 반대 사자성어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의미적으로 반대되는 상황을 상상해 볼 수 있습니다.
- 불화(不和): 부부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갈등을 빚는 상태
- 남남(男男)/여여(女女)라는 말장난식 표현: 부부가 서로 등을 돌려 각자 행보를 걷는 것을 비유적으로 말하기도 합니다.
즉, ‘부창부수’가 협력과 화합을 의미한다면, 그 반대되는 개념은 ‘갈등’이나 ‘불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사자성어
- 상부상조(相扶相助)
- 서로서로 돕는다는 뜻으로, 부부뿐 아니라 일반적인 인간관계에서도 함께 협력해 나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거안제미(擧案齊眉)
- 밥상을 눈썹 높이까지 들어 남편에게 바친다는 뜻으로, 부부가 서로를 존중하고 공경한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입니다.
- 화합지계(和合之契)
- 두 사람이 화합하여 맺어진 인연이라는 의미로, 부부·동업자 등의 협력을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정리
부창부수는 옛 유교 사상에서 비롯된 사자성어로, ‘남편이 이끌고 아내가 이에 따르는’ 전통적 가정질서를 나타냅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남녀평등 인식이 확산되면서, 부창부수를 단순히 ‘남편의 주도권, 아내의 순종’으로만 보지 않고, ‘함께 조화롭게 살며 서로를 돕는 부부 관계’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누가 이끄느냐’가 아니라, 서로 협력하고 존중하며 한마음으로 살아가는 태도 아닐까요? 부창부수가 원래 의도한 의미처럼, 부부 또는 가족 간의 화합과 상호 존중이 잘 이루어진다면, 그 어떤 형태로든 행복한 가정을 이룰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부창부수의 교훈을 가정 속에서 긍정적으로 활용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부부가 서로 노래를 부르고, 상대방도 이에 맞춰 춤을 추듯 즐겁게 살아가는 풍경이야말로 진정한 ‘부창부수’의 모습일 것입니다.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기응변(臨機應變)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4.04 |
---|---|
파사현정(破邪顯正)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4.04 |
수처작주(隨處作主)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4.03 |
여리박빙(如履薄氷)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4.03 |
인지상정(人之常情)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