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살아가다 보면 수많은 유혹과 장애물 앞에서 마음이 흔들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처음 세운 뜻을 끝까지 지키는 태도가 있다면, 우리는 큰 성취를 이룰 수 있습니다. 이런 결의를 압축적으로 표현한 사자성어가 바로 ‘초지일관(初志一貫)’입니다. 이 글에서는 초지일관의 뜻과 유래, 예문, 그리고 반대말과 비슷한 사자성어를 살펴보며, 왜 처음 세운 의지를 지키는 것이 중요한지 다시 생각해보겠습니다.
초지일관(初志一貫)의 뜻
- 겉뜻: 처음(初)의 뜻(志)을 한결같이(一貫) 지켜 나간다는 의미입니다.
- 속뜻: 어떠한 상황에서도 처음 세운 목표나 결심을 흔들리지 않고 끝까지 유지한다는 뜻입니다. ‘처음에 먹은 마음을 끝까지 한결같이 밀고 나간다’라는 의미로, 변치 않는 의지와 결의를 강조합니다.
한자의 뜻

- 初(처음 초): 시작, 처음
- 志(뜻 지): 뜻, 의지, 마음먹은 바
- 一(한 일): 하나, 한결같이
- 貫(꿸 관): 꿰뚫다, 관통하다
이 네 글자를 조합하면, ‘처음 세운 뜻을 하나로 관통한다’라는 뜻이 되어, 처음 마음먹은 바를 끝까지 유지한다는 결의를 나타냅니다.
유래
‘초지일관’은 중국 고전에서 나온 표현으로, 옛 학자들이 사람의 변치 않는 의지와 결단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 주로 큰 업적을 이룬 인물들의 공통된 특징이 ‘처음 세운 뜻을 한결같이 밀어붙이는 태도’임을 보여 주며, 흔들리지 않는 마음가짐을 예찬합니다.
- 이후 동아시아 전역에 퍼지면서, 현대에서도 ‘초지일관’이라는 말로 변치 않는 결심이나 목표 달성을 위한 집념을 표현합니다.
예문
- “그는 초지일관의 자세로 사업을 이어 가 결국 성공을 거두었다.”
- “초지일관해라. 처음에 세운 목표를 중간에 포기하면 이룰 수 있는 게 없다.”
- “자신의 길을 초지일관 걸어가는 사람이 결국 빛을 보는 법이다.”
이 예문들을 통해, ‘초지일관’이 처음 세운 목표나 뜻을 끝까지 지켜나가는 태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됨을 알 수 있습니다.
반대말
- 중도포기(中途抛棄), 작심삼일(作心三日)
- 초지일관이 ‘끝까지 변하지 않고 처음 뜻을 지키는 것’이라면, 그 반대는 ‘시작은 거창하지만 얼마 못 가 포기해버리는 태도’라 할 수 있습니다.
- ‘중도포기’나 ‘작심삼일’ 등은 이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한국어 표현이지만, 사자성어 형태의 정형화된 반대말은 딱히 없습니다.
비슷한 사자성어
- 일편단심(一片丹心)
- 한 조각 붉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변함없는 진심이나 충성을 표현합니다. 초지일관과 유사하게 ‘끝까지 변치 않는 마음’을 강조합니다.
- 부지런히… (예: 발분망식(發憤忘食))
- 결심을 굳게 먹고 먹는 것마저 잊을 정도로 노력한다는 뜻으로, ‘처음 세운 뜻을 관철하는’ 의지를 일부 연상할 수 있습니다.
- 굳은 지조 (한자 성어로는 견리사의(見利思義) 등도 있으나 맥락이 다소 다릅니다.)
- 변하지 않는 자신만의 원칙과 의지를 강조하는 표현. 초지일관과 비슷하게 바른 신념을 흔들림 없이 지킴을 의미합니다.
일편단심(一片丹心)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일편단심(一片丹心)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세상에는 변치 않는 마음으로 한 가지를 끝까지 지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변함없는 충성과 사랑을 표현하는 사자성어가 '일편단심(一片丹心)'입니다. 이 글에서는 일편단심의 뜻과 유
knowalchlab.tistory.com
정리
초지일관(初志一貫)은 ‘처음 세운 뜻을 끝까지 관통한다’는 의미로, 변하지 않는 결의와 의지를 상징하는 사자성어입니다. 현대사회에서는 빠르고 다양하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한 가지 목표를 꾸준히 추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처음 품은 마음’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면, 반드시 성장과 성취를 이룰 수 있음을 이 말이 알려 줍니다.
무엇보다, 초지일관하려면 현실의 유혹과 어려움을 견뎌낼 수 있는 끈기와 인내가 필요합니다. 흔들림 없이 자신의 길을 걸어가는 사람만이 결국 원하는 바를 손에 넣을 수 있다는 사실을, “초지일관”이라는 단어가 우리에게 상기시켜 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고마비(天高馬肥)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3.20 |
---|---|
욕속부달(欲速不達)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3.18 |
등고자비(登高自卑)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3.18 |
우유부단(優柔不斷)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3.18 |
일장춘몽(一場春夢)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1)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