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살아가며 경쟁하고 갈등을 겪는 과정에서, 목적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교활한 계략이 동원되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을 가리키는 사자성어가 바로 ‘권모술수(權謀術數)’입니다. 이 글에서는 권모술수의 뜻과 유래, 예문, 그리고 반대말과 비슷한 사자성어를 살펴보며, 세상사에서 지혜롭게 처신하기 위해 무엇을 경계해야 할지 생각해보겠습니다.
권모술수(權謀術數)의 뜻
- 겉뜻: ‘권(權)’은 권세나 권력, ‘모(謀)’는 꾀, ‘술(術)’은 기술, ‘수(數)’는 수단이나 방법을 의미합니다. 이를 합치면 ‘권력이나 세력을 위해 온갖 꾀와 방법을 동원하는 것’ 또는 ‘속임수와 교활한 계략으로 목적을 달성하려는 행위’를 가리킵니다.
- 속뜻: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치밀하고 교활한 전략을 쓰는 모습입니다. 정치나 비즈니스, 인간관계 등에서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상대방을 속이거나 조종하는 행태를 비판적으로 표현할 때 흔히 사용됩니다.
한자의 뜻

- 權(권세 권): 권력, 권세, 세력
- 謀(꾀 모): 꾀, 계책
- 術(재주 술): 기술, 방법
- 數(셈 수): 수단, 방법 (또는 꾀, 계략)
이 네 글자를 합치면, ‘권세나 이익을 위해 다양한 꾀와 술책을 써서 목적을 달성하려는 행위’를 뜻하게 됩니다.
유래
‘권모술수’는 중국의 역사와 고전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특히 춘추전국시대나 삼국시대의 혼란기 등을 묘사하며 자주 언급되었습니다.
- 예로부터 권력 투쟁이 치열하던 시기에는 온갖 술책과 모략이 난무했는데, 이를 일컬어 ‘권모술수의 시대’라고 하기도 합니다.
- 동아시아 문화권으로 넘어오면서 정치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음험한 계략이 난무하는 상황을 비판하거나 경계할 때 쓰이는 사자성어가 되었습니다.
예문
- “그 회사는 경쟁사를 무너뜨리기 위해 권모술수를 서슴지 않는다.”
- “권모술수로 자리를 얻는 사람은 결국 신뢰를 잃게 마련이다.”
- “권모술수가 판치는 조직 문화에서는 구성원들이 마음 놓고 일하기 어렵다.”
위 예문들을 통해, ‘권모술수’가 비윤리적이거나 음험한 전략을 쓰는 사람이나 조직을 지적할 때 사용하는 말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반대말
- 정도(正道), 정정당당(正正堂堂)
- 권모술수가 ‘음험한 계략’을 써서 이득을 취하는 태도라면, 반대로 ‘올바른 길, 정도(正道)’를 걷거나 ‘정정당당(正正堂堂)하게 행동하는 것’이 대조 개념이 됩니다.
- 즉, 편법이나 교활함 대신 정직하고 떳떳한 방법으로 승부를 보는 것이 반대되는 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사자성어
- 모사재인(謀事在人)
- 일이 사람에게 달려 있다는 뜻으로, ‘사람의 계책이나 술책으로 일이 결정된다’는 의미를 담지만, 권모술수처럼 ‘음험한 목적을 위해’ 쓰는 의미와는 조금 다릅니다.
- 권불십년(權不十年)
- 권력이 영원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말로, 권모술수를 써서 권력을 잡아도 오래가지 못한다는 점에서 간접적으로 연관 지을 수 있습니다.
- 양두구육(羊頭狗肉)
-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과 속이 달라 사람을 속이는 행태를 비유합니다. 권모술수처럼 교활한 모습이라는 측면이 유사합니다.
양두구육(羊頭狗肉)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우리는 종종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이나 상황을 마주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을 잘 표현한 사자성어가 바로 '양두구육(羊頭狗肉)'입니다. 이 글에서는 양두구육의 뜻과 유래, 그리고 이를 통해 얻
knowalchlab.tistory.com
정리
권모술수(權謀術數)는 ‘권력이나 목적을 위해 온갖 술책을 꾀하는 것’을 비판적으로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살아가면서 전략과 계책이 아예 필요 없는 것은 아니지만, 정도를 넘어서면 결국 신뢰를 잃게 마련입니다.
쉽고 빠른 길로 보이더라도, 정직하지 못한 전략은 자신을 비롯해 주변 사람들에게 해를 끼칠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권모술수보다는 공정한 방법과 떳떳한 태도로 성과를 쌓아가는 것이, 궁극적으로 더 큰 지지와 존중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익조(比翼鳥)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3.17 |
---|---|
약관(弱冠)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3.17 |
유예(猶豫)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3.16 |
격세지감(隔世之感)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3.16 |
명약관화(明若觀火) 뜻, 유래, 예문, 반대말, 비슷한 사자성어 (0) | 2025.03.16 |